프로그래밍 언어

    [Java] AtomicLong으로 동시성 문제 해결 (feat.비관적 락을 사용 하지 못한 이유)

    콘서트 예매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대기열 관련해서 개발을 진행하면서 비관적 락을 사용해서 대기열 동시성을 풀어 나가려고 했습니다. 요구사항 중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여러 번의 요청이 들어와도 내가 정한 대기열의 인원수(QUEUE_LIMIT)만 ONGOING 상태로 저장되어야 하며, 대기열 등록 시 ONGOING 상태가 QUEUE_LIMIT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WAIT 상태로 추가되어야 합니다. (REDIS를 사용하지 않고 대기열 문제를 풀어보고 싶어서 RDB를 사용) 대기열 등록 서비스 호출시 DB에서 ONGOING상태인 유저의 COUNT(*)를 가져와서 위에 요구사항 대로 진행하도록 구현을 하였습니다. 대기열 도메인 구현을 마친 후 마지막으로 동시성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를 돌려봤지만..

    [JPA]프록시를 사용하는 이유(즉시로딩, 지연로딩)

    위와 같이 Member에 Team이 들어있는 경우, Member를 조회할 때 Team도 조회해야 할까? -> Member와 Team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엔 괜찮지만, Member만 필요한 경우엔 Team까지 호출이 되면 리소스 낭비이다. (즉시로딩, 지연로딩의 차이점) 프록시 Hibernate가 내부에서 만든 가짜 엔티티 객체 em.find() :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실제 엔티티 객체 조회 em.getRefetence() :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미루는 가짜(프록시) 엔티티 객체 조회 em.getReference()를 호출하는 시점에는 데이터베이스에 query를 호출하지 않는다. 프록시 객체 초기화 1. em.getReference()를 호출해서 Proxy객체를 생성 2. target에 값이 없으면 영속..

    [JPA] Mapped Superclass - 매핑 정보 상속

    @MappedSuperclass 공통 매핑 정보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공통 속성이 필요할 경우 하나의 객체로 관리할 수 있다. 예시로 모든 테이블에 등록자, 등록일, 수정자, 수정일이 필요한 경우 공통으로 사용할 클래스를 만들어서 @MappedSuperclass를 사용하고, 적용할 엔티티에서 상속받아 사용한다. - 상속관계 매핑 X - 엔티티 X, 테이블과 매핑 X - 부모 클래스를 상속 받는 자식 클래스에만 매핑 정보를 제공 - 조회, 검색 불가(em.find(BaseEntity) 불가) - 직접 생성해서 사용할 일이 없으므로 추상 클래스 권장 테이블과 관계 없고, 단순히 엔티티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매핑 정보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주로 등록일, 수정일, 등록자, 수정자 같은 전체 엔티티에서 공통으로..

    [JPA]상속관계 매핑

    상속관계 매핑 객체는 상속관계가 존재하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상속 관계가 없다. 하지만! 슈퍼타입 서브타입 관계라는 모델링 기법이 있으며, 이 기법은 객체 상속과 유사하다. 상속관계 매핑? 객체의 상속과 구조와 DB의 슈퍼타입 서브타입 관계를 매핑 슈퍼타입, 서브타입 논리 모델을 실제 물리 모델로 구현하는 방법은 3가지 전략이 있다. 1. 조인 전략 2. 단일 테이블 전략 3. 구현 클래스마다 테이블 전략 오늘 예시로 사용할 (좌) 논리모델, (우) 물리모델 엔티티 @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DiscriminatorColumn public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

    [JPA]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다대일, 일대다, 일대일, 다대다)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우선 연관관계 매핑에 대해서 알아보기전에 테이블과 객체의 단방향, 양방향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테이블과 객체의 단방향, 양방향 테이블은 외래키 하나로 양쪽 조인이 가능하며, 사실 방향이라는 개념이 없다. 객체는 참조용 필드가 있는 쪽으로만 참조가 가능하며, 한쪽만 참조면 단방향! 양쪽이 서로 참조면 양방향! 객체에서 양방향일 경우에는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줘야하는데, 이때 연관관계 주인은 외래키를 관리하는 객체(테이블)을 주인으로 정하면 된다. 쉽게 생각하면 테이블은 항상 다(N)쪽이 외래키를 관리한다. 다대일 ( N:1 ) 다대일 단방향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연관관계이며, 다대일의 반대는 일대다이다. Member객체에서 Team객체를 참조하는 구조 @Entity public clas..

    [JPA] 필드와 컬럼 매핑 어노테이션

    @Column 컬럼 매핑 속성 설명 기본값 name 필드와 매핑할 테이블의 컬럼 이름 객체의 필드 이름 insertable, updatable 등록, 변경 가능 여부 TRUE nullable(DDL) null 값의 허용 여부를 설정한다. false로 설정하면 DDL 생성 시에 not null제약 조건이 붙는다. unique(DDL) @Table의 uniqueConstraints와 같지만 한 컬럼에 간단히 유니크 제약조건을 걸 때 사용한다. colmnDefinition(DDL) 데이터베이스 컬럼 정보를 직접 줄 수 있다. ex) varchar(100) default ‘EMPTY’ 필드의 자바 타입과 방언 정보를 사용 length(DDL) 문자 길이 제약조건, String 타입에만 사용한다. 255 prec..

    [JPA]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 생성 옵션

    JPA는 DDL을 자동생성 해주는 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spring.jpa.hibernate.ddl-auto 속성 create : 기존테이블 삭제 후 다시 생성(drop + create) create-drop : create와 같으나 종료시점에 테이블 drop update : 변경분만 반영 (추가만) validate : 엔티티와 테이블이 정상 매핑되었는지만 확인 none : 사용하지 않음 운영에서는 절대 create, create-drop, update 사용하면 안 된다. 개발 초기 단계는 create 또는 update 테스트 서버는 update 또는 validate 스테이징과 운영 서버는 validate 또는 none

    [k8s] Kubernetes v1.26 세팅 가이드

    Master 1대, Worker2대 기반으로 k8s clustering 진행 1. Kubernetes 구성 요소 버전 CRI : Docker Docker version: v20.10.22 Containerd version : v2.0 CNI : Calico v0.3.1 Kubectl: v1.26.0 2. Virtal Machine 정보 AWS: t3.medium Virtual Machine OS: Ubuntu 20.04 (해당 가이드는 Ubuntu 22 버전에서 오동작) TCP 개방 요구사항 22, 80 : ssh, http 기본 port 443, 6443, 2379 : k8s apiserver, etcd 활용 port 179, 5473 : Calico 활용 port UDP 개방 요구사항 51820, 5..

    [JAVA] 추상클래스 abstract class

    추상[抽象]? 낱낱의 구체적 표상이나 개념에서 공통된 성질을 뽑아 이를 일반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정신 작용 상속은 자손 클래스를 만드는데 조상 클래스를 사용하는것이라면, 이와 반대로 추상화는 기존의 클래스의 공통부분을 뽑아내서 조상 클래스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추상클래스? 클래스 = 설계도 추상클래스 = 미완성설계도 (완성되지 못한 채로 남겨진 설계도) 인스턴스 생성 불가능 상속을 통해서 자손클래스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다. 일반 클래스와 차이점? 추상클래스는 추상메서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클래스와 전혀 다르지 않다. 추상클래스에도 생성자가 있으며, 멤버변수와 메서드도 가질 수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Web] Web Server vs WAS(Web Application Server), 웹 서버와 WAS

    Web Server Web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를 공유,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URL, HTTP, HTML Server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Web 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기다리고, 웹 요청(http)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 이때 데이터는 웹에서 처리할 수 있는 html, css, image등 정적인 데이터로 한정 즉, 클라이언트로 부터 http 요청을 받아 html 문서와 같은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정적 컨텐츠? 어떤 사용자의 요청이든 항상 동일한 컨텐츠 정적 웹 페이지의 경우 Web Server에 미리 저장된 파일(Html, css, JS, Image 등)을 불러와 구성하는 페이지 이다. 서버에 저장된 ..